묵상
묻고 기다리고 (하박국 1:12-2:1)
1. 하박국의 두 번째 질문(12-17절)
하박국 선지자는 질문하며 하나님의 응답을 들은 선지자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하박국은 하나님의 묵시와 말씀을 듣기 전에 당대의 문제를 가지고 하나님께 먼저 항변하는 마음으로 질문했습니다. 하박국의 질문에 하나님께서는 응답하셨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유다의 죄악을 심판하실 도구를 하나님께서 친히 준비하고 계시다고 대답하셨습니다. 그 도구가 바로 바빌로니아입니다. 하나님께서는 바빌로니아를 세우시고, 그들을 통해 불의한 유다을 심판하겠노라고 대답해주셨습니다.
본문은 하나님의 대답을 들은 하박국이 놀라움과 당혹함으로 하나님께 던진 두 번째 질문입니다. 하나님의 대답을 들은 선지자는 하나님의 계획을 받아들이기 어려웠습니다. 폭력을 앞세우는 불의한 제국을 통해 유다를 심판하겠다는 하나님의 계획을 인정하기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하박국은 다시 하나님께 물었습니다. 하나님을 향해 ‘나의 하나님, 나의 거룩하신 주님’이라고 부르며, 하나님과의 특별한 관계 속에 살고 있음을 고백하며 질문했습니다. “악한 민족이 착한 백성 그러니까 바빌로니아가 유다 백성들을 삼키려고 하는데도 주님께서는 왜 조용히 계시는지?”(13절) 불의한 제국, 바빌로니아를 세우시고, 그들을 통해 유다를 심판하시겠노라는 계획은 하박국의 기준으로 보면 하나님의 공의에 합당하지 않은 일이었습니다. 동시에 하나님과의 언약을 맺고 살던 이스라엘에게 하나님께서는 그렇게 행하시면 안되는 일이라는 확신도 있었습니다.
그래서 선지자는 바빌로니아를 통해 유다를 심판해서는 안된다고 항변하기 위해 그렇게 해서는 안되는 이유를 하나님께 설명합니다. “악한 대적이 낚시로 백성을 모두 낚아 올리며, 그물로 백성을 사로잡아 올리며, 좽이로 끌어모으고는, 좋아서 날뜁니다. 그러므로 그는 그 그물 덕분에 넉넉하게 살게 되고 기름진 것을 먹게 되었다고 하면서, 그물에다가 고사를 지내고, 좽이에다가 향을 살라 바칩니다. 그가 그물을 떨고 나서, 곧 이어 무자비하게 뭇 백성을 죽이는데, 그가 이렇게 해도 되는 것입니까?”(15-16절) 바빌로니아의 악행을 고발하면서 특히 그들이 그 모든 일을 가지로 자기를 자랑하며, 그들의 우상에게 고사와 제사를 지내는 것을 그냥 내버려두겠느냐고 항변합니다. 답답함을 가지고 하박국은 ‘이렇게 해도 되는 것이냐’고 하나님께 물었습니다.
2. 하박국의 기다림(2:1)
하나님께 항변하며 물은 후에, 하박국이 그다음에 보여준 행동은 ‘기다림’이었습니다. “내가 초소 위에 올라가서 서겠다. 망대 위에 올라가서 나의 자리를 지키겠다. 주님께서 나에게 무엇이라고 말씀하실지 기다려 보겠다. 내가 호소한 것에 대하여 주님께서 어떻게 대답하실지를 기다려 보겠다.”(2:1) 파수꾼처럼 선지자는 망대에 올라가 징조를 살피며 하나님의 뜻을 찾고자 했습니다. 하나님의 뜻을 기다렸습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들을 때까지 그는 자신의 자리를 지키며 하나님의 응답을 기다리겠노라고 반응했습니다. ‘주님께서 나에게 무엇이라고 말씀하실지 기다려 보겠다’고 반응했습니다.
사랑하는 여러분,
하박국은 질문하며 기도한 사람입니다. 하박국에게는 하나님께로부터 듣고 싶던 응답의 내용이 있었습니다. 하나님께서 당대의 불의와 폭력에 대해 개입하셔서 불의하고 악한 자들을 심판하시고 불의한 자에게 시달리는 의인을 건져주시겠노라는 대답이 바로 그것입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주시는 대답이 그의 생각과 달랐습니다. 하나님께서는 도리어 더 악하고 불의한 이방의 제국을 통해 유다를 심판하겠노라고 대답해주셨기 때문입니다. 그런 하나님의 대답은 선지자가 보이게는 옳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다시 하나님께 그렇게 하셔도 되는 것인지를 항변하는 마음으로 물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항변하며 하나님께 불평을 털어놓는 것으로 끝내지 않았습니다. 하나님께 물은 다음에 그는 하나님의 대답을 기다렸습니다. 하나님을 향한 신뢰를 포기하지 않고 하나님께서 주실 응답을 인내하며 대답을 기다렸습니다.
그것이 하나님과 그의 백성이 대화하는 방식입니다. 하나님의 백성들은 질문하거나 간구 한 후에 반드시 자기 자리를 지키고 앉아 하나님의 응답을 들어야 합니다. 이해하기 어려운 하나님의 응답에 항변할 수는 있지만, 그러나 끝까지 하나님의 답을 들어야 합니다. 그것이 하나님과 대화하며 소통하는 자세입니다. 그런 사람들이 하나님과의 관계가 깊어지고, 영적으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그런 사람들은 성령의 도우심으로 하나님의 깊은 경륜까지 깨달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오늘도 주님께 묻고, 주님의 대답을 기다리는 과정을 통해 우리와 하나님과의 대화가 더욱 깊어질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그 과정을 통해 하나님을 더욱 깊이 알아가는 영적 기쁨이 충만하기를 바랍니다.
번호 | 제목 | 작성자 | 등록일 | 조회수 | 첨부 파일 |
---|---|---|---|---|---|
2125 | 오직 주님만 자랑하라 (고린도전서 1:18-31) | 허정강 | 2020-06-03 | 411 | |
2124 | 하나되게 하신 주님을 따라(고린도전서 1:10-17) | 김민 | 2020-06-02 | 269 | |
2123 |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의 성도 ‘여러분’ (고린도전서 1:1-9) | 김민 | 2020-06-01 | 285 | |
2122 | 가엾은 이들을 위해(하박국 2:12-3:19) | 김민 | 2020-05-30 | 264 | |
2121 | ‘끝’이 오고 있다.(하박국 2:2-11) | 김민 | 2020-05-29 | 229 | |
2120 | 묻고 기다리고 (하박국 1:12-2:1) | 허정강 | 2020-05-28 | 247 | |
2119 | 바람처럼 사라져 없어질 것이다. (하박국 1:1-11) | 허정강 | 2020-05-27 | 292 | |
2118 | 바른길로 인도하시는 목자(시편 23:1-6) | 이광희 | 2020-05-26 | 404 | |
2117 | 더불어 찬양하는 날(시편22:22-31) | 이광희 | 2020-05-25 | 280 | |
2116 | 변함없는 믿음(시편21:1-13) | 이광희 | 2020-05-23 | 289 | |
2115 | 주님만 자랑합니다(시편20:1-9) | 이광희 | 2020-05-22 | 261 | |
2114 | 입술의 모든 말과 마음의 생각까지도(시편 19:1-14) | 허정강 | 2020-05-21 | 277 | |
2113 | 주님이 하셨습니다. (시편 18:30-50) | 허정강 | 2020-05-20 | 242 | |
2112 | 구원의 하나님 앞에 온전히(시편 18:16-29) | 김민 | 2020-05-19 | 243 | |
2111 | 나의 힘이신 하나님(시편 18:1-15) | 김민 | 2020-05-18 | 289 |
댓글